miraiin 님의 블로그

알아두면 쏠쏠하고 요긴한 생활 정보

  • 2025. 4. 16.

    by. 알쏠요정

    기업마다 ‘일 잘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만, 사실 정답은 가까이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바로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입니다.
    많은 기업이 이 기술을 통해 단순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고, 생산성과 정확도, 속도 모두를 끌어올리는 데 성공하고 있죠.
    실제 사례를 통해 RPA가 어떻게 업무 현장을 바꾸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들여다보겠습니다.

    RPA활용사례
    RPA활용사례

     

    1. 시중은행 – 계좌 개설 업무 자동화로 고객 응대 속도 ↑

    국내 대형 은행 C사는 신규 계좌 개설 시 고객 정보를 수집하고, 본인 인증 후 내부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었습니다.

    특히 계좌 개설 건수가 많은 지점에서는 직원 1명이 하루에 평균 80건 이상을 입력, 약 8시간을 고스란히 할애해야 했습니다.
    이를 RPA로 전환한 결과, 고객이 제출한 신청서 데이터를 OCR(문자인식)과 연동된 RPA가 자동으로 추출하고 입력하게 되었습니다.

    • ✅ 처리 시간: 1건당 10분 → 1분 미만
    • ✅ 오류율: 5% 이상 → 0.2% 이하
    • ✅ 연간 약 3,000시간 업무 절감 효과

    덕분에 고객 대기 시간이 줄었고, 직원은 창구 응대에 더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2. 대형 유통사 – 재고 데이터 수집 및 보고서 자동화

    전국 3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는 유통업체 A사는 매일 오전 각 매장의 재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본사 시스템에 반영하는 업무를 진행해 왔습니다.

    기존에는 지점별 직원이 수동으로 엑셀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를 이메일로 전달했으며, 본사 직원은 이를 모아 정리하고 ERP에 수작업 입력을 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RPA 도입 후, 로봇이 각 지점의 시스템에 자동 접속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본사 양식에 맞춰 자동 정리한 뒤 ERP에 업로드하도록 구성했습니다.

    • ✅ 업무 소요 시간: 하루 5시간 → 40분
    • ✅ 데이터 정확도 향상 + 오류 건수 '0'
    • ✅ 실시간 재고 파악으로 빠른 물류 대응 가능

    이로 인해 물류 비용이 감소하고, 주간 재고 회의 자료도 자동 생성돼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졌습니다.

     

    3. 제조업체 – 납품서·인보이스 처리 자동화

    중견 제조기업 B사는 매월 수백 개의 협력사로부터 납품서와 인보이스를 수령해 회계 시스템에 입력하고 정산하는 업무를 수행해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파일 형식이 제각각이고, 수기로 확인해 수치를 입력하던 탓에 누락·오입력 문제가 자주 발생했습니다.

    이에 RPA를 도입해 PDF, 엑셀 등 다양한 형식의 문서를 자동 열람, 필요한 필드 값을 추출해 회계 시스템에 입력하도록 했습니다.

    • ✅ 수기 업무 80% 감소
    • ✅ 데이터 누락률 0.5% → 0.01% 이하
    • ✅ 월 200시간 이상 업무 절감

    특히 회계팀의 연말 정산, 분기 보고서 등 집중 업무 시즌에 큰 효과를 체감했다고 합니다.

     

    4. 병원 – 보험 청구 및 진료기록 전산화

    대형 종합병원에서는 진료 후 보험 청구 서류를 정리해 각 보험사 시스템에 업로드하는 업무가 반복됩니다.

    과거에는 행정 직원이 진료기록을 전자차트에서 확인하고, 필요한 정보를 보험사 양식에 맞춰 입력해야 했는데요,
    이 업무를 RPA가 대신하게 되면서 입력 누락, 서류 반환율이 급감했습니다.

    • ✅ 청구서 작성 시간: 평균 20분 → 2분
    • ✅ 보험사 서류 반려율 25% 감소
    • ✅ 환자 보험금 지급 지연 해소

    병원은 이 경험을 바탕으로 입·퇴원 절차, 검사 예약 관리 등으로 자동화 범위를 확장 중입니다.

     

    5. 글로벌 IT기업 – 고객 서비스 자동 대응

    해외 글로벌 IT 서비스 기업은 고객으로부터 매일 수천 건의 서비스 요청 티켓을 받습니다.

    이 중 **정형화된 질문(비밀번호 초기화, 이용 요금 안내, 기능 설명 등)**은 모두 RPA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RPA는 이메일이나 채팅 티켓을 분석해 문의 유형을 분류하고, 정해진 응답 템플릿을 자동으로 전달하거나 고객 포털을 통해 처리하도록 합니다.

    • ✅ 1일 평균 처리량: 1,200건 → 4,000건
    • ✅ 고객 응답 대기 시간: 평균 4시간 → 15분
    • ✅ 고객 만족도 30% 이상 증가

    사람의 개입 없이도 충분히 대응 가능한 업무는 RPA에게 맡기고, 복잡한 케이스만 상담원이 직접 처리하면서 서비스 품질이 높아졌습니다.

     

    RPA는 다양한 산업에서 실제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이처럼 RPA는 은행, 유통, 제조, 의료, IT 등 거의 모든 산업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는 ‘단순하지만 반복적인 업무’에 적용되어 효율성을 높이고, 사람의 역량이 더 가치 있는 일에 집중되도록 돕고 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